popup zone

안보·북한학과 교과목 해설

북한학연구 Introduction to North Korean Studies
북한학의 기초 개념과 연구방법론을 습득하고, 북한 연구의 출발점이 되는 북한사의 기본 골격을 습득함
북한군사연구 North Korean Military Studies
북한군의 기원과 구성, 제도, 역량, 전략 등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정-군 관계에 기반을 둔 북한 국가의 성격을 파악함
한반도안보론 Theories of Korean Peninsula
한반도 안보의 핵심 구성요소인 한반도 분단과 동북아 세력균형의 성격을 안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반도 평화를 지향하는 안보전략을 모색함
군사전략론 Theories of Military Strategies
군사전략의 역사와 핵심 이론을 탐구하고, 현대 무기체계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군사전략의 특징을 이해함
국가안보와 정보 National Security and Intelligence
국가의 정보 관련 활동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며, 각 국가별 정보기관의 제도적 특성과 기능을 비교·검토한다. 특히 탈 냉전기 국가정보 활동의 기능적 변화를 탐구한다.
안보정책론 Theories of Security Policy
북한 외교정책의 기본 개념과 가치관을 사회주의 국제관계론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탈-냉전 이후 북한의 외교정책 변화를 분석함
북한의 대외관계연구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North Korea
북한의 건국 이후 현재까지 북한의 대외관계 변화를 시대별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 체제의 생존과 대외관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함
북한의 비동맹외교론 Non-Aligned Movement and North Korean Foreign Policies
냉전 시기 비동맹운동의 기원과 역사를 살펴보고, 북한의 대외정책과 비동맹운동 사이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함
한반도군비통제 Arms Control in the Korean Peninsula
분단과 냉전이 야기한 한반도군비경쟁의 구조와 현황을 파악하고, 군비축소와 군비통제의 관점에서 한반도 군비경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남북한관계연구 Studies on the Inter-Korean Relations
남북한 관계의 역사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남북한 관계를 좌우한 주요한 변수들과 남북대화의 결과들은 분석함
북한의 대남정책연구 North Korean Policies towards South Korea
북한의 대남한 정책을 통일정책과 대남혁명전략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북한의 대남한 정책의 기초가 되는 이론들을 검토함
남북한통일정책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Unification Policies of Two Korea
남북한의 통일정책이 지난 70년 동안 어떻게 형성되고 또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남북한 통일정책을 규정한 대내외 변수들을 파악함
분단국통일사례연구 Studies on the Historical Cases of Unification
2차 세계대전 이후 통일을 이룬 분단국들의 분단과 통일 과정을 분석하고, 남북한 통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
동북아외교환경연구 Studies on the Diplomatic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한반도 분단 관리와 통일에 핵심적인 변수이자 조건으로 작동하고 있는 동북아 지역의 외교환경을 분석하고, 한반도 통일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함
동북아질서연구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Orders in Northeast Asia
냉전시대와 탈-냉전시대, 탈-탈-냉전시대에 걸쳐 동북아의 국제질서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그러한 변화가 한반도 안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분석함
국제통합이론연구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Integration Theories
국가 간 협력과 통합에 관한 경제적, 정치적 이론들을 살펴보고, 그러한 통합 이론들이 한반도 통일과 관련하여 제시하는 시사점들을 도출함
동북아경제론 Theories of Northeast Asian Economy
21세기 국제경제질서에서 가장 중요한 동북아시아 지역 개별 국민경제들의 현황과 개별 국민경제들 간 협력을 파악하고, 향후 동북아경제통합 가능성을 분석함
조선로동당특강 Special Lectures on the Workers’ Party of Korea
북한의 지배정당인 조선로동당의 역사와 지배이념에 대한 심화된 학습을 위해, 조선로동당의 주요 문건들과 핵심 역사적 사실들을 분석함
북한정치체제론 Studies on the Political Regime of North Korea
사회주의체제의 특성과 신정주의국가의 특성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 규정되고 있는 북한체제의 정치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함
북한통치이데올로기연구 Studies on the North Korean Ideology
북한의 지배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의 형성 및 변화, 19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선군사상의 정치적 특성 등을 연구함
북한행정체제연구 Studies on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North Korea
당-국가 체제로 운영되는 북한의 행정체제가 갖는 특징과 기본 구조를 파악하고, 향후 북한 행정체제의 변화 가능성을 파악함
북한법체계연구 Studies on the Law System of North Korea
북한 헌법의 기본 원리와 변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북한 법체계의 기본 원리와 1990년대 이후 변화 양상을 파악함
비교사회주의체제론 Comparative Studies on Socialist Systems
북한 체제에 대한 이해와 향후 변화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주의국가들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비교사회주의론의 관점에서 파악함
북한경제사연구 Studies on North Korea’s Economic History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북한 경제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파악하고, 북한 경제사 연구에서 핵심 쟁점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함
사회주의정치경제학연구 Studies on Socialist Political Economy
북한 사회경제체제의 이해에 가장 기초가 되는 사회주의정치경제학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사회주의정치경제학의 관점에서 북한 경제체제의 한계를 파악함
남북한경제통합론 Economic Integration of Two Korea
남북한의 경제체제 차이 및 경제력 격차를 파악하고, 경제통합론의 관점에서 남북한 경제통합과 관련한 현안 및 과제를 분석함
북한사회연구 Studies on North Korean Society
북한 사회의 특징을 사회주의체제, 아시아전통, 독재체제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파악하고, 북한 사회의 변화 가능성을 분석함
북한문화예술세미나 Seminar on North Korean Culture and Arts
북한에서 체제 유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문화·예술과 관련한 북한의 이론과 실천을 파악하고 분석함
남북한비교문화론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on North and South Korea
남북한의 문화가 갖는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문화론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향후 남북한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남북한사회문화통합론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of Two Korea
남북한 사회문화의 특징과 교류 현황을 파악하고, 남북한 사회문화통합과 관련한 이론들을 습득함
북한체제변화론 Theories of System Changes in North Korea
북한 체제의 형성과 변화를 역사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북한 체제의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 이론적 지식을 습득함
북한지도자연구 Studies on North Korean Leaders
수령유일체제로 움직이는 북한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최고지도자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북한 정치·경제·사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지식을 습득함
북한경제개방론 Theories on the Economic Reform and Opening of North Korea
사회주의경제체제의 개혁·개방에 대한 이론과 역사를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경제개혁개방에 대한 정책과 성과를 분석함
사례분석연구 Ⅰ Case Study Ⅰ
분야별 다양한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와 비교를 통해 이론적 이해와 설명, 그리고 예측능력을 제고 함
사례분석연구Ⅱ Case Study Ⅱ
분야별 다양한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와 비교를 통해 이론적 이해와 설명, 그리고 예측능력을 제고 함
국가와 시민사회 State and Civil Society
국가와 시민사회의 주요 현안과 동향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와 시민사회 사이의 바람직한 관계의 설정 방안을 연구함
국정관리특강 Special Lecture on Governance
국정의 주요 현안과 동향을 검토하고, 향후 국정관리의 개선 방안을 모색함
안보·북한 특강 Special Lectures on National Security and North Korea
안보와 북한 문제와 관련한 주요 현안과 동향을 검토함으로써 외교·안보·북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
국제정세의 이해 Understanding of Current International Issues
국제정세의 주요 현안과 동향을 검토하고, 한반도와 동북아뿐만 아니라 세계질서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